문화예술캘린더

통합검색

CULTURE INFORMATION
문화예술정보

  • 공유하기
  • 화면 인쇄하기
  • 카카오톡공유
  • 블로그공유
  • 페이스북공유
  • 트위터공유
  • 카카오스토리공유
  • 문화예술캘린더
    경북의 멋 미래의 가치, 경북문화재단이 함께합니다.

    전시

    (아트리움 모리) 2025 MORI Young Artrist 후보자 초대전 <떠오르는 섬>

    일정
    2025.02.25 ~ 2025.04.27
    장소
    아트리움 모리 본관 전시실
    지역
    상주시
    주최
    아트리움 모리
    상세정보

    아트리움 모리는 2025년 첫 전시로 청년작가 4인과 함께하는 그룹전 <떠오르는 섬>을 개최한다본 전시는 아트리움 모리가 전국의 유망한 청년작가를 발굴하기 위해 올해 2회차로 개최한 청년작가 공모전 2025 MORI Young Artist에 지원한 80명의 지원자 중 본선에 진출한 최종 후보자 강수희김영훈김지현이연주 작가와 함께한다네 작가는 서울제주대구 등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는 2-30대 청년작가이다.

    아트리움 모리는 이번 전시와 같이 가능성을 지닌 청년작가의 작품을 전시를 통해 선보이는 과정으로 그들이 예술계 속에서 각자의 세계를 지속하는 것에 힘을 보태는 지지자의 역할을 자처한다아트리움 모리와의 만남을 통해 여기네 개의 섬이 떠오르고 있다고립되어 있지만 굳건히 각각의 세계를 만들어나가는 그들만의 섬이.

     

    강수희 Kang Suhee (b.1995)

    파란 사람은 내면에 자리한 어두운 단면을 대변하는 동시에 그 감정을 받아들이는 과정 속에 존재하는 인물이다작품은 작가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담백하게 담아낸다최근 작업에서는 파란 사람의 얼굴이 까마귀로 변경되며 지시적인 인간의 얼굴 대신 캐릭터의 이미지로 비롯되는 이야기의 익명성과 보편성을 강화했다솔직하고 진지하며 그럼에도 위트를 잃지 않는 것개인적인 이야기가 관객 각자의 방식으로 해석되는 과정을 통해 보편성을 탐색하는 것그것이 작가의 작업이 추구하는 방향이다.

     

    김영훈 Kim Younghoon (b.1986)

    애착사진(愛着寫眞)’은 사진을 통해 돌아가신 어머니와의 기억을 되새기고 과거의 상처와 그리움을 치유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오브젝트 릴레이션의 원리를 바탕으로 애착의 대상을 탐구하며사진이 단순한 기록을 넘어 감정의 매개로 작용하는 방식을 보여준다작가의 작업은 과거의 아픔을 현재로 끌어와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여정을 통해 삶의 복잡한 감정을 진솔하게 담아낸다.

     

    김지현 Kim Jihyun (b.1986)

    작가는 최근 감각 경험을 통한 예술의 자율성과 주체성에 집중하며 미디어 설치와 다감각적 요소를 활용한 연구와 실험을 진행한다작품 <Still Heave-ho>(2025)에서 해가 지는 모습을 바라보며 아이와 아버지가 나누는 대화는실제로는 그들이 그 현상의 관찰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을 상황의 주체 위치에 놓는 가정과 상상으로 이루어진다이미지와 대화는 반복되고 재생산되며 점차 왜곡되고 흐려지며결국 이야기만이 남는다.

    <Symbiotic Odyssey_Clappearing>(2025)은 관객의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여 이미지를 드러내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작품으로관객의 존재와 행위에 따라 변형되고 감상되며 관객과 작품 간의 관계에 대해 질문한다이를 통해 감각적 경험과 주체성예술과 사회적 시스템 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이연주 Lee Yeonju (b.1996)

    작가는 산을 닮은 풍경을 작업에 담는다늘 같은 자리에서 바라볼 수 있는 산은 작가에게 변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가치이자 익숙함이었다땅 위에 자리 잡은 나무는 위를 향해 자라나고땅 위로 흐르는 비는 잔잔히 고여 수평을 이룬다그리고 그 사이의 우리는 산처럼 누워있다가도 작은 몸짓으로 맞닿아 있거나곧은 나무처럼 서 있기도 하다설치작품 <나의 작은 산>(2025)은 기존 회화 작업의 연장에서 순환의 주제를 강조한 작업이다멀리서 바라본 산의 외형과 들여다본 산의 내부를 2중 구조로 형상화하였다우리 또한 자연의 한 일부이기에 그저 자연과 함께 머무르다 지나가는그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이야기한다.

    • 첨부파일 File